본문 바로가기
육아/육아

여름철 유행하는 수족구 원인과 대처법

by 하하_마미 2023. 7.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번 구내염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구내염 유행이 끝나니 날도 덥고 물놀이가 많아지면서 요즘엔 수족구가 또 유행한다고 하네요.

구내염과 비슷하지만 다른 수족구에 대해서 한번 알아볼게요. 


여름철 유행하는 수족구 원인과 대처법

수족구(Hand-foot-and mouth)

정의

수족구는 이름 그대로 수(손, hand)족(발, foot) 그리고 구(입, mouth)에 물집이 잡히는 질환입니다. 

입 안에만 물집이 잡히는 구내염과 달리 손과 발, 심한 경우에는 사타구니, 항문 주변에도 수포가 생깁니다. 

 

 

원인

대개 콕사키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지만 간혹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한 수족구일 수도 있습니다. 

원인 바이러스가 다른 경우, 한 번 걸렸다고 해서 안 걸리는 것이 아니라 재감염될 수 있습니다. 

주로 콕사키바이러스에 의한 수족구는 감기와 마찬가지로 소아과 진료를 받으면 대개 일주일 안에 회복이 됩니다. 

다만,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한 수족구의 경우 증상이 좀 더 심하며, 아주 드물게 뇌막염 같은 심한 합병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증상

이름 그대로 손, 발, 입에 물집이 잡히며 심하면 엉덩이, 사타구니까지 생기기도 합니다. 

대개 미열을 동반하며, 입 안에 물집이 심하게 나면 고열이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입 안에 물집이 잡히면 삼킬 때 통증을 느끼기 때문에 음식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포는 일주일 정도 지나면 대부분 가라앉지만 수포가 났던 자국은 꽤 오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족구 증상
수족구 증상

 

잠복기 및 전염

수족구의 잠복기는 4~6일 정도이며, 바이러스와 접촉 후 잠복기가 지나면 증상이 발현되기 시작합니다. 

주로 접촉을 통해 감염이 되며, 코와 목의 분비물, 침, 물집의 진물을 통해 감염이 됩니다.

 

수족구는 물집이 잡히기 이틀 전부터 전염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린이집에서 한 번 수족구에 걸린 아이가 나타나면 집단 감염으로 번지기 쉽습니다. 

발병 후엔 수포가 가라앉기 전까지 어린이집에 등원할 수 없습니다.

 

또한, 형제가 있는 아이라면 형제로의 전염도 쉬운 질환 중 하나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더 큰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형제도 같이 등원하지 않는 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수족구에 걸린 아이의 보호자들이 가장 간과하는 것 중 하나가 

어린이집에 등원하지 못하고 집에만 있는 아이가 답답하여 간혹 외출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넓은 공원이나 탁 트인 곳이면 몰라도 놀이터나 키즈카페 등 어린이들이 많은 시설엔 절대 가서는 안 됩니다. 

 

 

치료 

대부분의 경우 일주일 정도면 수포가 가라앉고 자연적으로 치유됩니다. 

열이 나는 경우엔 해열제를 복용하며, 목에 염증이 심하여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하거나 

심지어 물까지 섭취하지 못하여 탈수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수액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엔테로바이러스의 의한 수족구의 경우 심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보호자가 항상 잘 살펴야 합니다. 

 

 

 집에서의 대처 방법 

  • 부드럽고 시원한 음식,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 먹이기

구내염과 마찬가지로 수족구에 걸리면 목에 염증이 생겨 음식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억지로 먹이려 하지 마시고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 위주로, 부드럽고 시원한 음식을 위주로 먹이려고 노력해 주세요. 

아무것도 못 먹어 탈수가 오는 것보다는 낫기 때문에 찬 우유나 아이스크림도 괜찮습니다. 

 

  • 시고 자극적인 맛이 나는 음식은 주의

맵고 자극적인 음식이나 오렌지 주스나 감귤 등 신맛이 나는 음료 및 과일은 주의하세요

아무래도 목에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입안 통증이 심할 땐 진통제(해열제)

아이가 입안 통증이 너무 심할 경우 진통제(해열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이나 부루펜 계열, 덱시부프로펜 계열 등 시간 간격에 맞춰 복용해 주세요. 약효가 돌 때쯤엔 통증이 좀 덜하기 때문에 이때 음식을 권하면 좋습니다. 

 

  • 아이가 소변을 보지 않는 경우(탈수 의심)

아이가 통증으로 잘 먹지 못하는데 소변을 8시간 보지 못한다면 소아과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더구나 1세 미만의 아이라면 심한 탈수가 의심되므로 응급실에 가야 합니다. 

 

  • 열이 3일 이상 지속되거나 두통, 구토하는 경우

수족구는 열이 나는 질환이긴 하지만 대개는 미열이며, 열이 길게 나는 질환은 아닙니다. 

고열이 지속되거나 두통을 호소하며 구토를 하는 경우엔 합병증이 나타난 경우일 수 있으므로 소아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소아과 진료 시간이 아니라면 응급실을 방문하여도 좋습니다.

 

 

 

 

반응형